독감 알아보기
· 매년 전세계에서 독감으로 29~65만명 사망4 독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독감은 전염성 강한 호흡기질환 입니다. 1 매년 독감으로 전세계에서 300~500만 명의 중증 환자가 발생하고 이중 29~65만 명이 인플루엔자 관련 호흡기 사망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4
'독한 감기'가 아닌 독감 증상 2
· 독감은 독한 감기가 아니다! 독감을 증상이 심한 독한 감기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 감기와는 원인부터 전혀 다른 질환입니다. 1 독감은 A형 2종(H1N1, H3N2)과 B형 2종(Victoria, Yamagata) 총 4종의 독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감기는 라이노 등 다른 바이러스가 원인입니다. 1,3 감기는 대개 특별한 치료 없이도 치유가 되지만, 독감은 폐렴 같은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고 심한 경우 사망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2
독감 고위험군 주의
·생후 6개월 이상 5세 미만 소아 및 65세 이상 고령자, 임산부 위험 2,3 생후 6개월 이상 5세 미만 소아 및 65세 이상 고령자, 임산부는 독감 감염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으로 세계보건기구(WHO)와 질병관리본부에서 지정한 독감백신 우선 접종 대상자에 해당합니다. 전 연령군 중 독감 발생률과 합병증, 입원, 사망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2,3,20
·당뇨, 호흡기질환, 심장질환 등 만성질환자 위험2,3당뇨, 만성 호흡기질환, 심장질환, 간질환 등 만성질환을 가진 환자는 독감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기저질환 악화 및 합병증으로 이어지기 쉬운 고위험군으로 사전 예방이 필요합니다. 2,3
생후 6개월 이상 5세 미만 소아
65세 이상 고령자
임산부
영아, 노인, 만성질환자, 임산부 등 밀접촉자
당뇨병 환자
만성 신장 질환자
만성 폐 질환자
만성 간 질환자
만성 심장 질환자
독감은 매년 접종한다?
Yes, 독감 바이러스는 매년 유행 바이러스가 바뀌므로5 지난 해 예방접종을 받았어도 올해의 독감까지 예방할 수 없습니다. 독감백신을 접종하면 약 2주 후부터는 방어 항체가 형성되고5, 약 6개월동안 면역원성이 유지 되므로 매년 10~12월 독감백신 접종을 권장합니다.6
만성질환 환자는 독감에 걸릴 확률이 높다?
Yes, 심장병, 폐질환, 당뇨병, 신장질환, 간질환 등의 만성질환 환자는 바이러스와 맞서 싸울 면역력이 약해져 독감에 걸릴 확률이 높습니다. 또한 만성질환 환자가 독감에 걸리면 세균성 폐렴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하거나 갖고 있던 만성질환이 악화되어 사망의 위험이 증가하게 됩니다.7, 8
독감 바이러스의 종류는 하나다?
No, 독감바이러스는 수많은 종류가 있고, 그 중에서도 계절 독감은 주로 A형 바이러스주 2종과 B형 바이러스주 2종 4가지 바이러스가 그 원인이 됩니다.9 기존에 널리 쓰여온 3가 독감 백신은 이 중 3종의 바이러스 균주만 포함하지만, 2015년부터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4가 독감백신은 4종의 균주를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10, 11
제조사 다양한 독감백신, 선택하여 접종 가능하다?
Yes, 독감백신 역시 제조사에 따라 다양한 브랜드의 백신이 유통됩니다. 접종 시기가 되면 각 의료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백신 중 전문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해 선택하여 접종할 수 있습니다. 플루아릭스 테트라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4가지 독감 균주에 대한 광범위한 예방 효과를 제공합니다.12
PM-KR-FLT-ADVT-200007